김대중(1998.2 ~ 2003.2)
IMF경제위기가 시작되면서 출발
기업들의 도산, 구조조정으로 대규모 실업, 환율과 금리 폭등, 투자위축, 부동산 하락
부동산규제 완화(5.8 규제완화대책)
- 분양권 재당첨 금지 기간 단축
- 청약 자격제한 완화
- 분양가 자율화
- 양도세 한시적 면제
- 취.등록세 감면
- 토지거래 허가제 및 신고제 폐지
- 분양권 전매 허용 등
2001년 이후 부동산 시장이 급상승
IMF 이후 주택공급이 감소 -> 부동산 투자심리 상승
다시 규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경
- 주택확대정책(국민임대주택 100만호 건설)
- 투기 과열지구 분양권 전매 강화
- 청약요건 강화
- 재건축 안전진단 강화 등
노무현(2003.2 ~ 2008.2)
부동산 시장이 상승 중
- 분양권 전매제한, 재당첨 제한
- 수도권 투기과열지구 지정
- 재건축 조합원지분 전매제한
- 소형 60% 의무화
- 종합부동산세 도입
- 투기지역 LTV(주택담보대출 비율) 강화 등
2006년 부동산 폭등이 이어짐
- 실거래가 등기부 등재
- 분양가 상한제 확대
- 종합부동산세 강화
- DTI(총부채상환비율) 도입
- 2주택 양도세 중과
-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등
임기내내 부동산은 상승하고 규제만 남발했다는 평가
이명박(2008.2 ~ 2013.2)
신자유주의, 친기업정책
- 고 환율 정책으로 수출 지원
감세를 통한 경제 활성화
- 종합소득세 인하
- 1세대 1주택 양도세 비과세 확대
- 법인세 인하 등
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추경예산안 28조 9천억
- 2010년 정부 채무 400조 돌파
결과적으로 2010년 무역수지 417억 달러 흑자,
- 보금자리주택 수도권 100만호, 지방 50만호 공급
2008년 9월 외환위기로 경기침체
부동산 하락세 시작
규제완화로 정책 변경
- 강남 3구 제외 투기과열 투기지역 해제
- 미분양 해소를 위해 한시적 양도세 감면
- 취득세 감면
- 분양권 전매제한 완화
-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배제기간 연장
- 매입 임대사업자 세제 지원
박근혜(2013.2 ~ 2017.3)
주택거래 활성화를 위해 규제완화와 공급억제
임기 말쯤 규제정책(2016.11.3 대책)
매매시장은 침체, 전세 상승 -> 전세난 해소를 위한 정책('빚내서 집 사라')
경기부양과 가계부채 딜레마
주식시장 침체
경제혁신 3개년
- 고용, 규제, 산업구조 등에 대한 구조개혁방안
세월호 사건
초이노믹스
- 금융완화 부동산규제 완화
- 가계소득 증대
- 경제침체 회복을 위한 재정투입
- 초이노믹스는 경제부 총리 최경환의 이름을 붙인 것으로 종합주가지수도 상승
2014.8.1 DTI, LTV등 부동산규제 완화
2014.9.1 경기활성화 부동산대책 -> 주가하락
2014.10.말 5조원 경기부양책 발표
2015.5.20 메르스 사태
문재인(2017.5 ~ 2022.5)
2017.8.2 대책
- 투기지역 : 강남 3구 + 서울 11개구 + 세종시
- 투기과열지구 : 과천시
- 조정대상지역 : 부산7개구 + 경기도 6개시
- 주택담보대출비율(LTV), 부채상환비율(DTI)를 40%로 하향조정
- 2018.4 부터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
2018.9.13 대책
- 조정대상지역 2주택 이상보유자 종합부동산세 중과
2018.9.21
- 수도권 공공택지 17곳 3만5천호 공급계획
- 3기 신도시 20만호 공급계획
2018.12.19 국토교통부
- 3기신도시 계획 발표
- 수도권 광역 급행철도(A선 금년도 착공, C선 조기착공), 신안산선 내년 하반기 착공, 서울 지하철 3호선 연장 등)
2019.12.16 부동산대책
계속해서 부동산 과열
노무현 정부와 닮았다는 평
2020.1.20 코로나 사태
윤석열(2022.5 ~ )
부동산 사이클을 만들어내는 4가지 요소
전세, 선분양제도, 대중심리, 부동산정책
"부동산 폭등장이 온다" 이현철
'부동산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집주인의 채무관계를 알 수 있게 되었다. (0) | 2022.09.02 |
---|---|
[8.16 부동산대책] 올해 3기 신도시 3000가구 분양 계획 (0) | 2022.09.01 |
묵시적 계약갱신 전세보증보험 만기 전 이사로 해지할 경우 (0) | 2022.06.22 |
지급명령을 받았을 때의 대처법 (0) | 2022.06.21 |
가압류 하는 법 (0) | 2022.06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