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기준금리 1.5% -> 1.75%
1) 우크라이나 사태, 중국 봉쇄 등 -> 회복세 둔화, 인플레이션 압력 지속.
미 연준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 빠를 것으로 예상 -> 주요국 국채금리 상승, 미 달러화 강세.
주가 : 위험회피심리 -> 하락
변동요인 : 글로벌 인플레이션 동향, 통화정책변화, 지정학적 리스크, 방역조치
2) 국내경제 회복세
설비투자 : 글로벌 공급차질 -> 조정, 수출둔화.
민간소비 : 거리두기 해제로 빠르게 회복
고용 : 취업자수 증가
전망 : 회복세 지속.
3) 소비자물가상승률
석유류, 공업제품 가격 상승폭 확대.
개인서비스 가격의 높은 오름세.
전기, 가스요금 인상.
근원인플레이션율 (3%), 기대 인플레이션율(3%)
소비자 물가 당분간 5%이상
4) 금융시장
미 연준 정책금리 인상가속, 중국 경기둔화 우려 -> 달러 강세, 주가 하락, 장기시장금리 큰폭 등락.
가계대출 소폭 증가, 주택가 보합.
5) 전망
성장세 회복 지속
불확실성
물가에 중점을 두고 운용
변수 : 성장/물가 흐름, 금융 불균형 누적위험, 통화정책 변화, 지정학적 리스크, 해외 경제상황
반응형
'금융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국 경제지표 발표 일정(7/24~7/29) (0) | 2022.07.28 |
---|---|
22년 7월 연준이 금리인상(0.75%)을 결정한 이유? FOMC 성명서 요약 (0) | 2022.07.28 |
국내 한국은행 7월 금리인상 판단근거 요약 (0) | 2022.07.22 |
기름값도 비싼데 원유 ETF 인버스 담아본다면 어떨까? (0) | 2022.07.19 |
뉴욕증시 슬슬 반등하는것 같이 보이는데? (1) | 2022.06.24 |